전체 글42 git commit을 위한 command 1. 워킹 디렉터리에 새로운 파일이 추가 될 경우 'git status'를 입력하면 untracked files, 빨강색으로 파일이 추가 되었는지 확인 가능 git status --- $ git status On branch master No commits yet Untracked files: (use "git add ..."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) test nothing added to commit but untracked files present (use "git add" to track) --- 2. 워킹디렉터리에서 스테이지 영역으로 옮기고 싶을 때는 'git add 파일' 명령어를 사용 git add test --- $ git status On bran.. 2023. 7. 12. git 개념 git은 공간을 3가지로 나눕니다 1. 작업을 하는 공간 - working :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는 공간 2.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 - stage : 커밋하려는 파일의 추적 상태 정보들을 기록 3. 실제로 저장하여 기록하는 공간 - repository commit을 할때 파일은 working -> stage -> repository 순서로 이동한다. 워킹 디렉터리 git add 'git add 파일'명령어는 파일의 공간을 바꾼다 : 워킹 디렉터리 -> 스테이지 영역 위 명령어를 실행한 파일은 스테이지 영역으로 간 이후부터 추적(tracked)가 가능하다 스테이지 디렉터리 git status 'git status' 명령어를 사용하여 add 된 파일 list를 확인 가능 파일의 modified 상태 파일.. 2023. 7. 12. git 환경설정 환경설정에 대한 command git config 설정값 환경 설정을 한다. git config --unset 이메일 주소 환경설정을 삭제한다 로컬 사용자 이메일 등록 git config user.name "사용자 이름" git config user.email "이메일주소" 글로벌 사용자 이메일 등록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 이름"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 주소" git은 디렉토리를 만들고 'git init' 명령어로 초기화를 해야된다 git init 2023. 7. 12. USB Device Driver - 2. usb_led modul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USBLED_VENDOR_ID0x04D8 #define USBLED_PRODUCT_ID0x003F /* table of devices that work with this driver VID, PID를 생성하여 id_talbe에 명시한다. */ static const struct usb_device_id id_table[] = { { USB_DEVICE(USBLED_VENDOR_ID, USBLED_PRODUCT_ID) }, { } }; MODULE_DEVICE_TABLE(usb, id_table); struct usb_led { struct usb_device *udev; u8 led_number; }; static ssize_t led_sho.. 2023. 7. 2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11 다음